이상한 나라
 
 
 
 
브루크너음악과 시와 사진으로 감성을 공유합니다.
HOME > 작곡가ㅂ > 브루크너
 

교향곡 | 교향곡 09번 d minor -1악장 지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1988)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상한나라 작성일16-02-15 12:59

본문

475c75f2294a7cf433eceaddec8ff693_1455508 

 

Bruckner - Symphony No.9 in d minor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지휘)
빈 필
(노바크 판본)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Edition: Leopold Nowak)

1988/06 (ⓟ 1989) Stereo (DDD)
Großer Saal, Musikverein, Wien
Live Recording
 
 
 
작곡 연도: 1887년 9월 12일~1896년 10월 11일 타계로 미완성작
 
작곡 장소: Wien
 
출판/판본: 1903년 Löwe 판본, 1932년 Alfred Orel 판본, 1951년 Leopold Nowak 판본, 2000년 Benjamin Cohrs 판본
 
헌정, 계기: God에게 헌정됨. 작곡자 교향곡 0번과 같은 D minor. 베토벤 교향곡 9번을 의식한 합창이 포함된 대규모의 곡으로써 작곡자 생전에 미완성된 4악장 대신 "테 데움"을 써도 좋다고 말함.
 
초연 연도: 1903년 2월 11일
 
초연 장소: Wien
 
초연자: Ferdinand Löwe
 

악기 편성/
플루트 3, 오보에 3, 클라리넷 3, 파곳 3, 호른 8, 트롬본 3, 트럼펫 3, 콘트라베이스 튜바(3악장에서는 4개의 호른 대신에 테너 튜바 2, 베이스 튜바 2), 팀파니 3, 현5부
 
 
브루크너는 마지막 교향곡인 미완성 9번을 위해서, 8번을 작곡한지 6주 뒤부터 죽기 전까지 10년이나 작업했다. 9번은 그의 마지막 최후의 삶에 대한 결정체이다. 숨을 거두는 그날에도 마지막 악장을 잠시 작업하다 숨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그의 마지막 작품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굳건한 신앙심을 바탕으로 신에게 이 곡을 바치고 싶어했었기 때문에 어떤 특별한 염원을 간직하고 있다. 이 곡의 음악적인 형상에 대해서 가장 먼저 느낄 수 있는 점은 그 음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생소함과 대담성에 대한 놀라움이다. 선율의 처리 방법은 복음정을 각별히 많이 구사하였으며, 풍부한 하모니는 바그너적인 반음계법이 침투하여, 음의 장대한 흐름은 아주 개성적인 면모로 발휘하기 시작했다. 또한 베토벤의 교향곡들은 브루크너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지만 이제 브루크너는 그의 교향곡을 통해서 더욱 베토벤의 교향곡적인 형식을 발전시킨 셈이 된다.
9번의 최초의 스케치는 63세 때인 1887년 9월이며 그후 병세가 점점 심각해지고 나이가 들면서 3악장까지 작곡하고 200페이지 분량의 피날레 스케치를 코다까지 남겨둔 상태로 서거하게 된다. 이 피날레를 가지고 브루크너의 의도와 비슷하게 다시 완성하려는 시도는 다행히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 마지막 코다 부분은 브루크너의 영면과 함께 엄숙한 세계로 완결 지어졌기 때문에 굳이 피날레 부분에 손을 델 필요는 없다고 본다. 브루크너는 마지막에 이 피날레가 완성되지 않을 것을 생각하고 테 데움이 대신 연주되기를 바랬었다.
곡의 초연은 그의 사후인 1903년 2월 11일 빈에서 Ferdinand Löwe 지휘로 당시 막 창단된 빈 콘체르트페라인 오케스트라 (Wiener Konzertvereinsorchester)에 의해 행해졌다. 이 오케스트라는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전신에 해당한다. 뢰베는 작품의 연주를 원활히 한다는 미명하에 브루크너의 악보를 수정했으며 그 수정본이 Doblinger에 의해 이듬해 출판된다. 1934년에야 Alfred Orel이 편집한 오리지날 악보가 출판되게 된다. 크나퍼츠부쉬 (1950)를 비롯해 푸르트벵글러 (1944), 아벤트로트 (1951) 등은 모두 이 오리지날 악보를 쓰고 있다. 반면 현대의 대부분의 지휘자들은 1951년에 출판된 Leopold Nowak판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다.

 


브루크너 교향곡 9번 Symphony No.9 in d minor - 1. Feierlich. Misterioso (28:11)
 
 
2/2 박자, 자유로운 소나타 형식. 제1 주제 - 제2 주제 - 제3 주제 - 전개부 - 재현부 - 코다 의 형식임
 
1악장은 흔히 원시(原始)의 운무(雲霧)라고 불리는 여리고 자욱한 현악기의 트레몰로로부터 시작된다. 이 제1악장의 첫 부분은 여러모로 말러의 교향곡 제9번의 첫 악장을 생각나게 하는데, 그것은 무언가 아득히 먼 곳으로, 어쩌면 다시 돌아오지 못할 곳을 향해 떠나는 여행의 시작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런 의미에서 말러 교향곡 9번의 시작을 항구에서 마지막 배가 떠나가는 모습에 비유했던 어떤 이의 생각은 지극히 설득력 있는 해석이다. 그러나 그 배는 이 항구에서 저 항구로 떠나가는 보통의 배가 아니라 인생이라는 차안에서 아득히 먼 피안의 세계를 향해서 떠나가는 배인 것이다. 이 점은 브루크너의 교향곡9번에서도 똑같지만 그는 말러처럼 해로를 택한 것이 아니라 육로를 걸어 무한의 길을 가려고 작정하고 마치 태초의 때와 같이 짙은 안개가 자욱하게 드리운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선다
 
제시부
- 제 1주제 (1-76 마디)
현악기군의 여린 반주가 시작되면 맨 처음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이 동시에 이어진다. 그 다음 8개의 호른이 앞서면 트럼펫과 팀파니가 함께 살며시 응한다. 계속해서 곡이 진행됨에 따라 금관악기와 현악기 팀파니가 이어지고 곡은 서서히 상승한다. 드디어 63번째 마디에서 포르티시시모 (fff)의 튜티로 표현되는 제 1 주제가 형성된다. 74번째 마디에서 다시 포르티시시모의 튜티가 한번 더 있다. 이 부분은 전체 연주에 대한 첫인상으로써 금관의 밸런스와 함께 템포를 통해서 전반적인 지휘자의 의도와 개성적인 면들에 대해서 모든 것을 표출한다. 제일 중요한 마지막 75번째 마디 의 음표 하나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아주 중요한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이 부분은 1악장 중에서 가장 중요한 체크포인트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
- 제 2 주제 (77-152 마디)
바이올린과 첼로의 피치카토로 시작되며 제 1 주제와는 상반되게 차분하고 서정적인 선율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97 번째 마디부터는 현악기의 나긋한 속삭임 위에 목관과 금관악기간의 대화가 이어진다.
- 제 3 주제 (153-226 마디)
여린 현의 트레몰로 위에 오보에와 클라리넷의 선율로 시작되며 167 마디에서 다시 주제가 시작된다.
 
전개부
- 제 1부 (227-276 마디)
팀파니와 콘트라베이스의 다져지는 저음 위에 다시 제 1 주제가 모습을 드러낸다.
- 제 2부 (277-302 마디)
전개부 중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써 현악기들의 피치카토 반주 사이로 클라리넷의 제 3 주제 부분이 이어진다.
- 제 3 부 (303-332 마디)
현의 우아한 반주사이로 드디어 325-332 마디까지 플룻의 선율이 커다란 폭발을 암시한다.
재현부
- 제 1주제 (333-398 마디)
333 마디에서 커다란 튜티로 시작된다. 370, 380 마디에서 각각 3번의 정상을 거친 뒤 마지막으로 387 마디에서 재현부의 핵심을 이룬 뒤, 현의 트레몰로를 거친다.
- 경과구 (399-420 마디)
전개부의 제 1 주제에서처럼 오직 현과 팀파니만으로 간략하게 넘어간다.
- 제 2 주제 (421-458 마디)
현의 피치카토가 다시 등장하고 제 2주제가 다시 나타난다.
- 제 3주제 (459-504 마디)
계속 진행되는 호른의 선율 속으로 목관악기들이 끼어든다. 더불어 트럼펫과 튜바등도 가세한다. 492 마디에서 다시 튜티를 형성하며 경과구로 진행한다.
- 경과구 (505-518 마디)
목관악기군과 금관악기군으로만 된 경과구를 거쳐서 최종적인 코다 부분으로 넘어간다.
 
코다 (519-567 마디)
여리게 목관악기로 시작되며 제 1 주제의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531 마디부터는 본격적으로 금관악기들이 돌진한다. 548 마디에서 튜티로써는 최종적인 결말을 맞이하지만 아직 모든 결말을 내리지는 않았다. 바로 563과 564 마디에서 트럼펫이 남았다. 가장 높은 음을 사용해서 여러 가지 행로에 대한 결말을 들려주는 부분이다. 사실 스코어 상에는 어떤 지시도 없지만 이 부분도 가장 본질적인 해석이나 음향적인 문제와 직결된다. 코다에서 가장 중요한 체크포인트이기도 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