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
 
 
 
 
말러음악과 시와 사진으로 감성을 공유합니다.
HOME > 작곡가ㄱ~ㅁ > 말러
 

교향곡 | 교향곡 05번 c sharp minor -4악장 지휘: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상한나라 작성일16-03-04 17:55

본문

2c3bf0864aa25802d3063cea1d1b1d75_1457081 

 

Mahler - Symphony No.5 in c sharp minor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지휘)
베를린 필

Bernard Haitink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88/05 (ⓟ 1989) Stereo (DDD)
Philharmonie, Berlin
 
 
 
작곡 연도: 1901년 ~ 1902년 여름
 
작곡 장소: Maiernigg 근교
 
출판/판본: 1904년 Leipzig의 Peters 출판사
 
헌정, 계기: 헌정자 없음
 
초연 연도: 1904년 10월 18일
 
초연 장소: 쾰른
 
초연자: 작곡자 자신(지휘)
 
악기 편성/
플루트(제3, 제4는 피콜로와 겸함) 4, 오보에(제3은 잉글리시 호른 겸함) 3, 클라리넷(제2는 E flat 클라리넷, 제3은 베이스 클라리넷과 겸함) 3, 파곳(제3은 콘트라파곳과 겸함) 3, 호른 6,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글로켄슈필, 팀파니, 심벌즈, 베이스드럼, 사이드드럼, 탐탐, 하프, 트라이앵글, 현 5부
 
 
 
 
웅대한 자연 시(詩)에서 질풍노도의 피날레로 이어지는 1번, 죽음과 부활의 고통스런 변증법인 2번, 무한한 시간과 공간이 주는 공포에서 시작해 자연과 인간과 절대자의 교감을 발견하는 3번, 어린이가 보는 천국의 행복을 노래한 4번, 앞의 네 곡은 분명 젊은 사람의 음악이다. 극단적인 고뇌와 환희를 오가며 삶의 의미를 캐묻는 모습은 젊은이의 전형적인 모습 아닌가. 하지만 5번에서 말러는 더 이상 방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고뇌는 이미 확인된 고뇌고, 환희 또한 이미 확인된 환희다. 이것은 성숙한 인간의 음악이다. 모든 정서는 더욱 단단히 압축된, 정제된 형태로 표현된다. 앞의 작품들에서는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성악을 쓰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하지만 5번은 순수한 기악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축했다.
말러의 5번은 앞의 네 곡에서 보여준 방황의 결산이다. 그러나 그의 삶을 특징짓는 방황과 고뇌는 아직 끝나기에는 멀었으니, 훗날 9, 10번에서 말러는 다시 삶에의 집착에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5번은 그가 걸어간 길이 한복판에 가장 견고하게 서 있는, 그의 인생의 표적과 같은 곡이다. 말러는 이 곡에 대해 음악 외적인 표제를 붙인 일이 없다. 말러는"이 교향곡은 열정적이고 거칠고 비극적이고 엄숙하며 인간이 모든 감정으로 가득하지만, 단지 음악일 뿐이다. 여기에는 어떠한 형이상학적 질문의 자취도 남아 있지 않다"는 말을 남겼다.
말러가 이 곡을 작곡한 1901년은 그의 생애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 빈 국립 가극장의 감독으로 4년째 알하며 지휘자로 확고한 명성을 얻었고, '괴짜', '이방인'이라는 편견을 벗고 작곡가로서도 존경을 받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스무 살의 아름답고 총명한 알마 쉰틀러를 만나 사랑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해 여름에 작곡하기 시작한 이 곡은 인간이 피해갈 수 없는 삶의 적나라한 얼굴을 그리고 있다. 20세의 젊은 알마에게 결코 그 무게를 함께 짊어지게 할 수 없었던 말러의 거대한 내면, 그 고독한 세계이다.
작품 배경 & 개요
교향곡 5번은 여러모로 앞의 교향곡과 다른 점을 많이 보이지만, 특히 론도 피날레의 마지막 악장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푸가 패시지와 복잡한 대위성부(초기 교향곡이 대위 선율들은 좀 더 투명하고 분명하여 단선율적인 경향이 있다)들이 가장 두드러진다. 1901년의 봄과 여름에 말러가 바흐의 다성음악 연구에 몰두한 것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말러는 '바흐의 음악이 모든 음악의 씨앗이며 그보다 더 위대한 다성음악은 없다'고 여겼으며, '바흐로부터 얼마나 많은 것을 배웠는지 모른다'고 친구들에게 고백했다.
브루노 발터가 지적했듯이 말러의 교향곡 5번은 그 어떤 곡보다도 절대음악에 가깝다. 그러나 역시 말러가 말러이니 만큼 음악 외에 그 어떤 것도 이 곡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운데, 베토벤 이후 독일 교향곡이 가지고 있었던 '고난에서 광명으로'라는 모토를 제외한다 하더라도 각 악장들의 의미를 굳이 찾으려고 한다면 어렵지만은 않다. 스케르쪼에 관해서라면 말러는 바우러-레히너에게 '삶의 정점, 낮의 밝은 빛 속에 있는 인류'라고 말한 적이 있고, '삶의 한 가운데에서 우리는 죽음 속에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아다지에토는 당연히 알라 말러를 염두에 두어도 될 것이다.

 
 
제3부
 
말러 교향곡 5번 Symphony No.5 in c sharp minor - 4. Adagietto. Sehr langsam [13:56]
'아다지에토, 아주 느리게.' '알마에 대한 사랑의 고백'인 이 곡은 영화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와서 유명해진 부분이다. 관악기들은 쉬고 현악 파트와 하프만 연주하는 매우 아름답고 고요한 악장이다. 폭풍 사이에 환상처럼 잠시 맛보는 평화라고 할까? 하지만 싸늘한 햇살 속에서 꾸는 피곤한 꿈처럼 쉽게 깰 것만 같은 안타까운 아름다움이다. JFK의 장례식에서 연주 되었던 저 유명한 Adagietto 악장이다.
12분 정도 연주되는 결코 짧지 않은 이 음악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시거나 진정한 평화를 찾고 싶으실 때 정말 좋으리라 생각된다. 음악에 몰입한 후 문득, 길고 깊은 잠에서 깨어난 느낌이 든다면 바로 그제서야 이 아름다운 말러 교향곡 4악장의 연주가 끝났음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음악을 감상하면 마치 밤사이, 세상사람 아무도 몰래 내린 눈이 천지를 온통 깨끗하고 하얗게 뒤덮은 아침에 고요하게 눈 앞에 펼쳐 져 있는, 순결처럼 빛나는 백색의 경이로운 아름다움...!
싸늘한 겨울 아침, 온통 하얗게 새벽 안개가 피어오르는 호수가에서 명상에 잠기 듯 그 고요함에 동화되는 듯 하다. Full Orchestra의 연주를 기본으로한 교항곡임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도 이 4악장은 관악기를 모두 쉬게한 채, 현악기로만 연주되는 아름다운 곡이다.
이 아름다운 악장은 분명히 말러의 곡 중에서 가장 많이 연주된다. 이 곡이 루키노 비소콘티의 영화 <베니스의 죽음>에서 흘러나오지 않았더라도(정말이지 시종일관 이 음악이 흐른다) 이 곡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유명해졌을 것이다. 알마 말러가 이 곡의 주제이자 목적지인데, 이 에피소드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빌렘 멩겔베르크이다. 그는 악보의 여백에다 '이 아다지에토는 구스타프 말러의 사랑의 고백이다. 말러는 편지 대신 이 곡의 원고를 보냈고, 알마는 말러에게 오라는 답장을 보냈다.'고 써넣었다. 사실 두 사람 모두 이 이야기를 멩겔베르크에게 들려주었다고 한다. 알마 말러 역시 뛰어난 작곡가였기에 가능한 이야기이고, 멩겔베르크는 이 에피소드를 알고 잇다는 것이 얼마나 자랑스러웠던지(남의 연애 이야기에 대한 지식의 과시는 가히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다) 심지어 악보의 다른 빈곳에는 '나의 태양, 내가 당신을 얼마나 사랑하고 잇는지'로 시작되는 시까지 적고 있다. 말러 수집가(?) 혹은 학자인 길버트 카플란이 늘 이 곡은 죽어 가는 슬픔이 아니라 단순한 사랑 이야기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이런 근거에서이다. 많은 지휘자들이 이 곡을 10분이 넘는 길이로 연주하는 반면 카플란은 발터와 함께 7분대에서 마무리하고 있고, 아바도는 이 보다는 조금 길지만 9분대에서 연주한다. 다행히 말러가 직접 연주한 피아노 롤이 발견되어서 카플란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데, 이 피아노 롤을 들으면서 카플란은 벅찬 가슴을 안고 감동에 못 이겨 말했을 것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