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
 
 
 
 
말러음악과 시와 사진으로 감성을 공유합니다.
HOME > 작곡가ㄱ~ㅁ > 말러
 

교향곡 | 교향곡 05번 c sharp minor -1악장 지휘: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상한나라 작성일16-03-04 18:02

본문

2c3bf0864aa25802d3063cea1d1b1d75_1457082 

 

Mahler - Symphony No.5 in c sharp minor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지휘)
베를린 필

Bernard Haitink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88/05 (ⓟ 1989) Stereo (DDD)
Philharmonie, Berlin
 
 
 
작곡 연도: 1901년 ~ 1902년 여름
 
작곡 장소: Maiernigg 근교
 
출판/판본: 1904년 Leipzig의 Peters 출판사
 
헌정, 계기: 헌정자 없음
 
초연 연도: 1904년 10월 18일
 
초연 장소: 쾰른
 
초연자: 작곡자 자신(지휘)
 
악기 편성/
플루트(제3, 제4는 피콜로와 겸함) 4, 오보에(제3은 잉글리시 호른 겸함) 3, 클라리넷(제2는 E flat 클라리넷, 제3은 베이스 클라리넷과 겸함) 3, 파곳(제3은 콘트라파곳과 겸함) 3, 호른 6,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글로켄슈필, 팀파니, 심벌즈, 베이스드럼, 사이드드럼, 탐탐, 하프, 트라이앵글, 현 5부
 
 
 
 
웅대한 자연 시(詩)에서 질풍노도의 피날레로 이어지는 1번, 죽음과 부활의 고통스런 변증법인 2번, 무한한 시간과 공간이 주는 공포에서 시작해 자연과 인간과 절대자의 교감을 발견하는 3번, 어린이가 보는 천국의 행복을 노래한 4번, 앞의 네 곡은 분명 젊은 사람의 음악이다. 극단적인 고뇌와 환희를 오가며 삶의 의미를 캐묻는 모습은 젊은이의 전형적인 모습 아닌가. 하지만 5번에서 말러는 더 이상 방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고뇌는 이미 확인된 고뇌고, 환희 또한 이미 확인된 환희다. 이것은 성숙한 인간의 음악이다. 모든 정서는 더욱 단단히 압축된, 정제된 형태로 표현된다. 앞의 작품들에서는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성악을 쓰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하지만 5번은 순수한 기악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축했다.
말러의 5번은 앞의 네 곡에서 보여준 방황의 결산이다. 그러나 그의 삶을 특징짓는 방황과 고뇌는 아직 끝나기에는 멀었으니, 훗날 9, 10번에서 말러는 다시 삶에의 집착에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5번은 그가 걸어간 길이 한복판에 가장 견고하게 서 있는, 그의 인생의 표적과 같은 곡이다. 말러는 이 곡에 대해 음악 외적인 표제를 붙인 일이 없다. 말러는"이 교향곡은 열정적이고 거칠고 비극적이고 엄숙하며 인간이 모든 감정으로 가득하지만, 단지 음악일 뿐이다. 여기에는 어떠한 형이상학적 질문의 자취도 남아 있지 않다"는 말을 남겼다.
말러가 이 곡을 작곡한 1901년은 그의 생애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 빈 국립 가극장의 감독으로 4년째 알하며 지휘자로 확고한 명성을 얻었고, '괴짜', '이방인'이라는 편견을 벗고 작곡가로서도 존경을 받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스무 살의 아름답고 총명한 알마 쉰틀러를 만나 사랑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해 여름에 작곡하기 시작한 이 곡은 인간이 피해갈 수 없는 삶의 적나라한 얼굴을 그리고 있다. 20세의 젊은 알마에게 결코 그 무게를 함께 짊어지게 할 수 없었던 말러의 거대한 내면, 그 고독한 세계이다.
작품 배경 & 개요
교향곡 5번은 여러모로 앞의 교향곡과 다른 점을 많이 보이지만, 특히 론도 피날레의 마지막 악장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푸가 패시지와 복잡한 대위성부(초기 교향곡이 대위 선율들은 좀 더 투명하고 분명하여 단선율적인 경향이 있다)들이 가장 두드러진다. 1901년의 봄과 여름에 말러가 바흐의 다성음악 연구에 몰두한 것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말러는 '바흐의 음악이 모든 음악의 씨앗이며 그보다 더 위대한 다성음악은 없다'고 여겼으며, '바흐로부터 얼마나 많은 것을 배웠는지 모른다'고 친구들에게 고백했다.
브루노 발터가 지적했듯이 말러의 교향곡 5번은 그 어떤 곡보다도 절대음악에 가깝다. 그러나 역시 말러가 말러이니 만큼 음악 외에 그 어떤 것도 이 곡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운데, 베토벤 이후 독일 교향곡이 가지고 있었던 '고난에서 광명으로'라는 모토를 제외한다 하더라도 각 악장들의 의미를 굳이 찾으려고 한다면 어렵지만은 않다. 스케르쪼에 관해서라면 말러는 바우러-레히너에게 '삶의 정점, 낮의 밝은 빛 속에 있는 인류'라고 말한 적이 있고, '삶의 한 가운데에서 우리는 죽음 속에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아다지에토는 당연히 알라 말러를 염두에 두어도 될 것이다.

 
 
제1부
 
말러 교향곡 5번 Symphony No.5 in c sharp minor - 1. Trauermarsch. In gemessenem Schritt. Streng. Wie ein Kondukt [13:34]
죽음의 행진 <신중한 속도로, 엄격하게, 장례행렬처럼>
'장송 행진곡, 침착한 걸음으로.' 어린 시절 듣던 군대 나팔 소리의 추억에서 끌어낸 트럼펫의 팡파르로 시작한다. 처절한 장송곡의 리듬과 격렬하고 사나운 절망과 슬픔의 기나긴 패시지가 교차한다. 변형된 행진곡 멜로디를 플루트가 연주하는 끝 부분은 귀기(鬼氣)를 느끼게 한다. 말러가 진정한 천재임을 느끼게 해 주는 대목이다. 
가만히 보면 말러가 교향곡에 어울리지 않는 여러 형식들을 새롭게 자신의 곡에 활용하고 있다지만 의외로 그중 많은 것은 100년 전 베토벤이 이미 응용한 것이다. 베토벤은 이미 교향곡에 합창을 사용하였고(말러는 이 비교를 싫어하였다), 느리고 빠른 변주곡을 사용하였고, 푸가 패시지를 집어넣었고, 장송 행진곡을 사용하였다.
이런 방법들은 말러의 곡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장송 행진'에서 조금 더 나아가 '죽음의 행진'이란 것은 말러의 대명사와도 같은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2번 교향곡의 시작이 그렇고, 3번 교향곡의 첫 악장에서도 장송 행진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1번 교향곡의 3악장은 물론, 심지어 가곡에도('북치기 소년'이라든지, '기상 나팔'이라든지) 죽음의 행진곡을 집어넣는 작곡가는 없을 것 같다.
말러의 다섯 번째 교향곡도 바로 이 죽음의 행진으로 시작된다. 첫 머리에 등장하는 트럼펫의 군대 풍 팡파르는 말러에게 전형적인 것이다. 장례 행진을 사용하는 것이야 그럴 수도 있다지만 팡파르로(그것도 어두운) 교향곡을 시작하다니, 자주 들으니까 익숙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정말 이상한 사람이 아닌가. 어쨌든 말러는 이 주제의 셋잇단음 리듬이 언제나 속도를 붙여서 연주되기를(정말 군대의 팡파르처럼) 악보에서 지시하고 있다.
이 악장의 구조에 대해서는 말러 학자들 사이의 의견 차이가 없다. 즉 주부(c 샤프 단조) - 트리오 1(갑자기 빠르게 열정적으로, 난폭하게, b 플랫 단조) - 주부( c 샤프 단조) - 트리오 2(a 단조) - 코다(c 샤프 단조)이 구조이다. 그런데, 두 번째 트리오의 대부분이 첫 번째 트리오에서 등장하는 주제에 기초하고 있고, 토다는 주부를 변형시킨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파트 A - 파트 B - 파트 A1 - 파트 B1 - 파트 A2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신음과 죽음의 행진이 교차하고 있는 곡이지만 트리오가 시작되면 그야말로 이런 감정이 강렬한 집중력을 가지고 휘몰아친다. 절대 교향곡의 형식 속에 이런 식으로 개인적인 감정을 강하게 집어넣을 수도 있다는 것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지만, 이런 점이라면 다음 악장이 그 강도에서 더 할 것이다.
"구스타프는 어떤 형태로든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지낸 날이 하루도 없었다"고 알마가 회상한 것은 아주 먼 훗날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