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
 
 
 
 
모차르트 | 협주곡음악과 시와 사진으로 감성을 공유합니다.
HOME > 작곡가ㄱ~ㅁ > 모차르트 > 협주곡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 K.467 -3악장 피아노:프리드리히 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상한나라 작성일16-03-05 15:35

본문

ed337f7bc2126d8b8d19485a7024b9d6_1457159 

 

W. A. Mozart
Concerto for Piano & Orchestra No.21 in C major K.467
Friedrich Gulda, piano
Claudo Abbado, cond
Wiener Philharmoniker

 

 

 

<해설>

1785년에 나온 3개의 협주곡 가운데 두번째 작품이다.

첫 작품 K.466 이 나온 지 불과 한달 후 역시 자신이 주최하는 예약 연주회에서 직접 독주 파트를 연주할 곡으로 쓴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협주곡 영역을 탈피하여 "교향적 통일제"로서의 내용을 지닌 충실한 편성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을 전개시키는 등, 두 곡간에 공통적인 점도 어느 정도 가진다.

그러나 이 K.467 이 주는 인상은 k.466 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다.

반 행진곡풍으로 시작하는 곡의 분위기나 끓어오르는 듯한 부파적 정신이 넘치는 피날레, 중간부터 끝까지 계속되는 아름다운 칸타빌레에 철두 철미한 안단테, 또 곡의 무게 중심을 다시 독주자의 연주 기교로 이동시키려 하는 등, 애써 탈피했던 사교적 기회음악의 영역으로 다시 후퇴하는 느낌도 준다.

d단조의 숨막힐 듯한 어두운 격정에서 해방되어 C장조라는 맑은 조성을 고른 모차르트는 여기서 자신의 악기를 마음껏 울려보고 싶어했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기교를 과시하고 있지만 결코 극단으로 빠지지 않으며, 그 특유의 비할 데 없는 평형감각으로 오케스트라와 독주 악기가 조화로운 엱를 한다.

서로 흐트러짐없이 협력하고 잇는 것도 사실이다. 이 작품에는 모차르트가 직접 쓴 카덴타가 남아 있지 않다.

작곡완성은 빈에서 1785년 3월 9일.초연은 1785년 3월 10일, 부르크 극장에서 열린 이 연주회에 아버지 레오폴트가 참석하여 그 성곡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는 에피소드가 전해지지만 그에 대해서는 편지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확증할 수 없다.

 

1785년 작곡된 이 작품은 모짜르트 전성기(피아노 협주곡으로서의 전성기)때 피아노 협주곡 20번과 동시에 작곡된 곡이다. 그때는 모짜르트의 가장 행복했던 시기이자 창작열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인데, 피아노 협주곡 19,20,21,22,23,24,25,26 까지가 모두 그 3해 동안에 작곡된 것이고 또한 아이러니칼 하게도 그때부터 모차르트의 가난과 빈곤의 시대가 열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 곡의 자필 악보에는 악보 대신 숫자가 빡빡하게 적인 가계부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협주곡은 그 많은 장조의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 2인자의 위치를 확고히 굳히고 있다. 1인자는 23번이라고나 할까?

그의 피아노 협주곡은 모짜르트 자신이 형식을 완성하고, 베토벤이 4번에서감상을, 5번에서 형식을 완성하기기 위해 필히 등장해야만 했던 고전파 협주곡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다. 베토벤도 물론 잘 썼지만 워낙 무둑뚝한 사람인 관계로 모짜르트처럼 감칠맛 나는 곡들을 써 내지 못했고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들은 3번이 모차르트의 24번, 4번이 모차르트의 23번, 5번이 모차르트의 22번과 25번을 각각 모델로 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극한까지 발전시킨 면은 있어도 그다지 독창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견해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일반적이다.

그 점에서 피아노 협주곡의 미묘한 맛은 역시 모짜르트에게서 찾아야 할 것 같다. 피아노와 관현악의 대화, 관악기의 독백, 투쟁, 화합, 투정, 달램 등등 인간의 대화에 나타나는 모든 감정이 다 들어있는 협주곡들이다. 특히 이 21번엔 간결한 형식미-그의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형식미-가 담겨 있다. 그리고 2악장의 감상적 내용..그것이 잘 대비되어 있다. 3악장은 누구나 다 아시다시피 론도이지만, 들어본 사람들은 그 것을 1악장과 2악장을 듣고 감정의 중화를 바라는 사람들을 위한 일종의 론도라고 생각하고 있다.

<곡분석>

편성 - 독주 피아노(클라비어), 플루트ㅏ 오보에2, 호른2, 트럼펫2, 팀파니, 바이올린2부, 비올라, 베이스

연주시간 - 약 28분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No.21 K.467 3악장 Allegro vivace assai
경쾌한 론도. 아주 중화제로 좋은 곡입니다. 옛말에 있듯이 쇼팽을 듣고 나선 모짜르트로 귀를 씻어라.바하를 듣고 나선 모짜르트로 중화해라.
차이콥스키의 센티멘탈리즘은 모짜르트가 해소해 준다.이 말들에 꼭 어울리는 악장이다.
밝고 떠들썩한 느낌을 주는 제1주제가 그대로 투티로 2회 반복된다.
딸림화음 위의 페르마타에서 짧은 아인강을 연주한 독주가 다시 주제를 제시하면 C장조 그대로 흐르는듯한 빠른 악구의 부주제가 이어지지만
이것은 다시 경과적인 것에 머무른다.
제1주제의 리듬을 사용한 경과적 패시지에서 처음으로 명확한 G장조가 되어 관악기가 제2주제를 보여준다. 
이것은 곧 피아노로 반복되고 제1주제의 바쁜 분위기는 여기에서도 느껴진다. 오케스트라가 경쾌한 리듬을 지속하는
독주가 막힘없는 급속한 음계로 대응하고 얼마 후 에필로그를 거쳐 발전부 없이 재현부로 직접 들어간다.
단. 이번에는 제1주제가 솔로, 투티 순으로 오케스트라와 피아노 사이을 오가는 이 부분이 발전부에 해당한다고도 볼 수 있다.
한편 이 악장 전체를, 거기에 별도의 중간 주제를 설정하면 일반적인 론도 형식이 되므로 그렇게 하지 않고 
2도 관계의 조성으로 주부의 주제를 세번째로 출현시키는 론도 소나타형식으로도 볼 수 있다.
경과적 선율이나 제2주제 모두 일반적인 틀대로 으뜸조로 재현되며 에필로그를 거쳐 카덴차에 도달하고,
마지막은 독주 피아노의 용솟음치는 듯한 음계의 상승으로 화려하게 전곡을 마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